Mysql, PostgreSql 라이센스 검토
예전에 공기업 프로젝트를 좀 했었는데 아주 오랜만에 정부쪽 프로젝트를 하게 되었습니다.
상용제품은 안쓰는 모드이고, DBMS 는 MYSQL Community 버젼을 쓰면 되겠다고 생각을 해두고 있었죠.
그런데 구체적으로 검토를 해보니 그게 아닌거 같습니다.
전에 자체 서비스를 할 때와 같은 경우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나,
외부에 납품/설치 하는 경우에는 상용을 쓰는 쪽으로 Mysql 에서 권장하고 있네요.
아래는 Mysql Korea의 라이센스 관련 내용 일부분 입니다.
|
정부는 비영리에 속할까 싶었는데 그렇지가 않더군요.
엄격한 관리를 하지 않는것 같긴 하나, 그건 알 수 없는 것이니 고민거리를 아예 안만드는게 안전하겠지요.
그래서 PostgreSql 을 살펴보니
http://www.postgresql.org/about/
를 가보니 까다로운 내용이 없는거 같습니다.
postgre 쓴다는 사이트를 직접 살펴보기도 했는데
( http://www.2ndquadrant.com/en/who-uses-postgresql/
http://olex.openlogic.com/wazi/2011/postgresql-vs-mysql-which-is-the-best-open-source-database/ )
하단 copyright 에 postgre 관련 표현같은건 없습니다.
훔... 작년엔 Mysql, 올해는 Postgre. DBMS 간 차이로 인해 학습비용을 좀 치러야겠군요.
공부하는건 좋지만 플젝 기간이 좀 빡세서 쩝...
※ 참고자료
http://www.olis.or.kr/ossw/license/licenseGuide.do
<= 오픈소스 라이선스 가이드 pdf 를 다운받아 볼 수 있습니다.
http://www.mysqlkorea.co.kr/sub.html?mcode=product&scode=08
<= mysql korea 의 내용입니다.
이외 구글링을 해보면 몇 몇 개발자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과 논쟁 댓글이 보이는데 개개인에 따라 해석이 좀 다른거 같네요.